창두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두 전투는 195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 동부를 침공하여 벌어진 군사적 충돌이다. 중국은 티베트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950년 10월 7일, 인민해방군은 티베트 동부를 침공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창두를 점령한 후 협상을 재개했고, 이후 1951년 십칠조협의가 체결되었다. 전투 이후, 일부 캄파 전사들은 지속적으로 저항했으며, CIA의 지원을 받아 추시 강드룩을 결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티베트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티베트 침공으로 시작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은 중국의 역사적 관점과 티베트의 정치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17개 조항 협정을 통해 "평화적 해방"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되어 티베트 내부 저항과 국제 사회의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며 티베트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1950년 티베트 -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인도와 티베트 경계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M8.6~8.8의 강력한 지진으로, 4,8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산사태와 홍수를 유발했다. - 1950년 중국 - 난펑 전투
- 1950년 중국 - 완산 군도 전역
완산 군도 전역은 1950년 5월부터 8월까지 완산 군도에서 중국 공산당군과 중화민국 국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공산당의 최초 육해군 연합 작전이자 국민당 해군 함선 나포 및 주강 봉쇄를 무력화시킨 사건이다. - 1950년 10월 - 운산 전투
운산 전투는 1950년 10월 한국 전쟁 중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대한민국 육군 제1보병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의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어 중국의 한국 전쟁 본격 개입을 알리고 한미 관계와 남북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 1950년 10월 - 1950년 동독 총선거
1950년 동독 총선거는 동독 건국 후 처음 치러진 선거로, 국민전선 후보가 기재된 투표용지를 사용하여 찬성은 무표시, 반대만 기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99.6%의 지지율로 국민전선이 압승을 거두었으나 민주적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창두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창두 전투 |
위치 | 티베트 창두 시 |
기간 | 1950년 10월 6일 ~ 1950년 10월 24일 |
관련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 냉전 |
결과 | 중국의 승리, 중국 인민해방군의 창두 점령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티베트 |
교전국 2 | 중국 |
지휘관 | |
티베트 | 아푀 아왕직메 (포로) 랄루 체왕 도르제 |
중국 | 류보청 덩샤오핑 장궈화 판밍 |
병력 규모 | |
티베트군 | 8,500명 |
중국 인민해방군 | 40,000명 |
사상자 규모 | |
티베트군 | 사상자 180명 포로 약 3,000명 중국 측 추정: 3,341명 (사망, 부상, 항복, 투항) |
중국 인민해방군 | 사상자 114명 |
2. 충돌 이전
1950년 이전, 티베트는 사실상 독립 국가였으나, 중국은 티베트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외교적 압박을 가했다. 라싸에서 협상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1950년 10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티베트 동부를 침공하면서 "사실상의 국경" 5개를 침범했다. 이들의 목적은 티베트 침공 자체가 아니라 티베트군을 창두에서 포위하여 섬멸시켜서 라싸 정부의 영향력을 감퇴시키는 한편, 베이징에 협상 대표를 파견해서 평화적으로 티베트를 편입시키는 조약에 서명하게 하는 것이었다.[49] 1950년 10월 21일, 라싸 정부는 중국 공산당 정부와의 협의를 위해 베이징에 주재하고 있던 티베트 대표단을 철수하도록 지시했다. 또한 달라이 라마의 신변이 보장된다면 일부 요구 사항을 제외한 최초의 요구 사항에는 합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그러나 이후 마하칼라 신 앞에서 점을 쳐, 티베트가 외세의 손에 넘어갈 것이라는 신탁이 내려지자, 첫 번째 요구에 대한 합의도 취소되었다.[50][51][52]
2. 1. 초기 협상 시도
1950년 3월 7일, 티베트 정부 대표단은 새롭게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화를 나누기 위해 인도의 칼림퐁을 방문했다. 이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의 "영역 보전"을 존중하고 안전을 보장해 줄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회담 장소를 두고 티베트, 인도,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이견이 발생하면서 협상은 지연되었다. 티베트는 싱가포르 또는 홍콩을, 영국은 인도를 선호한 반면, 인도와 중국은 베이징을 주장했다. 인도와 영국은 회담 개최 자체를 반대했다.결국 1950년 9월 16일, 티베트 대표단은 인도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였던 袁仲賢|위안중셴중국어을 만났다. 위안중셴은 티베트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분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의 국방, 무역, 외교를 담당해야 한다는 3가지 조건을 제시하며, 이를 수용하면 티베트를 "평화적으로 해방"시키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전쟁을 벌이겠다고 통보했다.
1950년 9월 19일, 티베트 재무부 장관 체폰 샤캅파는 중국과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는 중국군이 티베트에 주둔하는 조항도 있었다. 당시 티베트는 주변 국가로부터 군사적 위협을 받지 않았지만, 인도나 네팔이 티베트를 공격할 경우 중국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었다. 티베트 측은 중국군의 주둔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중국과의 관계를 스승과 후원자의 관계로 유지하고자 했다.
2. 2. 중국의 군사 행동
중국 공산당이 국공 내전에서 중화민국 군대를 격파한 후, 중국 인민해방군(PLA)은 중화민국 내륙 영토에 주목했다. 동부 캄은 서강성의 중국 점령 지역이자 티베트 지역으로 가는 관문이었다. PLA 제18군은 제52사단을 주력으로 티베트를 향해 진격하는 선봉 부대를 형성하여 1950년 2월 12일 야안에 도착했다. 3월, 인민해방군은 강딩 (다첸루)에 도착했다. 4월 중순까지 제18군은 최소 3만 명이 강딩을 통과했으며, 티베트인 1만 명이 8월에 완공된 강딩에서 간쯔 (칸제)까지의 도로 건설을 도왔다. PLA 제18군은 7월 30일 가르제에 집결하여 신룽에 사령부를 두고 동쪽에서 리탕에 진입했다. 칭하이 기병대대는 7월 22일 지예구에 진입하여 창도를 북남으로 포위 공격했다.[18]1950년 6월, PLA와 티베트군은 덩커(덴고라고도 알려짐)[14]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다. 덩커는 가르제에서 위수로 가는 주요 도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창도에서 북동쪽으로 약 약 160.93km 떨어져 있다. 전 창도 총독 라루 체왕 도르제가 그곳에 라디오 방송국을 설치했다. PLA 군인 50명이 덩커를 점령하고 라디오 방송국을 파괴했다.[14] 2주 후 (7월), 캄파 민병대 800명 (승려 300명 포함)이 덩커를 급습하여 PLA 군인 600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19] 결국 PLA는 동부 캄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20]
3. 전투의 전개
중국 공산당이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후, 중국 인민해방군 (PLA)은 티베트로 진격할 준비를 했다. 동부 캄은 서강성의 중국 점령 지역이자 티베트 지역으로 가는 관문이었다. 인민해방군 제18군은 1950년 2월 야안에 도착했고, 3월에는 강딩 (다첸루)에 도착했다. 4월 중순까지 최소 3만 명의 병력이 강딩을 통과했으며, 티베트인 1만 명이 강딩에서 간쯔 (칸제)까지의 도로 건설을 도왔다. 인민해방군은 7월 30일 가르제에 집결하여 신룽에 사령부를 두고 동쪽에서 리탕에 진입했다. 칭하이 기병대대는 7월 22일 지예구에 진입하여 창두를 북남으로 포위 공격했다.[18]
캄과 티베트 중앙 정부와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캄파 티베트인과 라싸 티베트인은 서로를 경멸하고 싫어했으며, 캄파인들은 중국의 통치보다 라싸 통치를 더 증오했기 때문에, 중국군이 동부 캄에 진입했을 때 거의 저항하지 않았다.[15] 판다창 랍가를 포함한 캄파인들은 라싸로부터의 자치를 위해 반란을 이끌었다. 중국 공산당은 그들을 잠재적인 혁명 동맹으로 간주하고 1950년 1월, 캄 자치를 지지하는 판다창 형제들에게 "티베트 해방" 동안 방관하는 대가로 지원을 공식적으로 제안했지만, 판다창 형제들은 조지 패터슨을 인도에 보내 다른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17]
1950년 6월, 인민해방군과 티베트군은 덩커(덴고라고도 알려짐)[14]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다. 덩커는 가르제에서 위수로 가는 주요 도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창두에서 북동쪽으로 약 160km 떨어져 있었다. 전 창두 총독 라루 체왕 도르제가 그곳에 라디오 방송국을 설치했다. 인민해방군 군인 50명이 덩커를 점령하고 라디오 방송국을 파괴했다.[14] 2주 후 (7월), 캄파 민병대 800명 (승려 300명 포함)이 덩커를 급습하여 인민해방군 군인 600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19]
3. 1. 창두 전투
1950년 10월 6일 또는 10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진사강을 건너 창두로 진입했다.[24][25] 인민해방군은 캄에서 별다른 저항 없이 캄 지역을 점령했는데, 이는 캄과 티베트 정부 사이의 관계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10월 19일, 압도적인 병력 차이로 중국군은 티베트군을 포위하고 창두를 점령했다.[6][7][8] 이 과정에서 인민해방군 병사 114명,[6] 티베트군 병사 18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6][7][8] 창두 지사이자 티베트군 사령관이었던 응아포 응왕 지그메는 2,700명의 병력과 함께 항복했다.[26]
전투는 갸모응굴추 강(살윈 강) 북동부 및 동경 96도 동쪽의 국경 지역에 한정되었다.[27] 창두 점령 후, 인민해방군은 교전을 중단하고,[7][30] 포로로 잡힌 아푀 아왕직메를 라싸로 보내 협상 조건을 다시 제시했으며, 티베트 정부가 베이징에 대표를 보내기를 기다렸다.[31]
3. 2. 전투 중단과 협상 재개
1950년 10월 19일, 압도적인 수의 중국 인민해방군 2개 부대가 국경 도시 창두를 빠르게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인민해방군 병사 114명과 티베트 병사 18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6][7][8] 창두 지사이자 티베트군 사령관인 응아포 응왕 지그메는 2,700명의 병력과 함께 항복했다. 실제 전투는 걀모 굴추 강(살윈 강 상류) 동쪽 및 동경 96도 동쪽의 라싸가 통제하는 국경 지역으로 제한되었다.[27]창두를 점령한 중국군은 목표를 달성했다고 판단하여 일방적으로 적대 행위를 중단했다.[7][30] 그리고 포로로 잡힌 응아포 응왕 지그메를 라싸로 보내 협상 조건을 다시 제시하도록 하고, 티베트 대표들이 베이징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협상에 응하기를 기다렸다.[31]
4. 전투 이후
창두 전투 패배 소식이 라싸에 전해지자, 섭정 응왕 숭랍 툽톱은 물러났고, 14대 달라이 라마는 예정보다 일찍 즉위했다. 1951년 2월, 응아포를 대표로 하는 5명의 티베트 대표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와 협상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파견되었다. 1951년 4월 말, 티베트 카샤그 대표단이 평화 회담을 마무리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갔으며, 응아포는 이후 인민해방군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고위직을 역임했다.
4. 1. 십칠조협의 체결
1951년, 창두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던 응아포는 석방되어 달라이 라마와의 협상을 위해 라싸로 파견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티베트가 '평화적 해방'될 경우 티베트 상류층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35][60] 티베트 대표단은 협상을 위해 베이징으로 파견되었고, 응아포가 대표단을 이끌었다. 결국 중국과 티베트는 십칠조협의를 체결했다.4. 2. 저항과 후속 사건
일부 캄파 전사들은 계속해서 저항했다. 지역 군벌들은 이후 공동의 목표 아래 단결하여, CIA의 지원을 받아 추시 강드룩을 결성했다.[36] 이들은 4년 후 캄 반란을 일으켰으며, CIA 티베트 계획에 따라 CIA의 원조를 받았다.[61]5. 한국의 관점
한국은 티베트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티베트의 독립과 자치권을 지지하는 여론도 존재한다.
6. 평가 및 논란
昌都战役|창두 전투중국어는 1950년 10월 6일부터 10월 24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의 평화적 해방"을 명분으로 티베트를 침공하여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국제법 위반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티베트의 역사적 지위와 자치권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강대국의 무력 사용과 소수 민족의 자치권 침해라는 측면에서 이 사건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1]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Contemporar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1913–1951, the demise of the lamaist sta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3]
서적
Freedom in Exile: The Autobiography of the Dalai Lama
Little, Brown and Co
1990
[4]
서적
[5]
서적
[6]
간행물
The historical Status of China's Tibet
https://books.google[...]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1997
[7]
서적
[8]
서적
[9]
뉴스
Chinese Reds Promise the 'Liberation' of Tibet
https://www.nytimes.[...]
1949-09-03
[10]
문서
Tibet: Proving Truth From Facts. The Status of Tibet
http://tibet.net/wp-[...]
[11]
서적
Dragon in The Land of Snows: The History of Modern Tibet since 1947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2
[12]
간행물
The Tibetan government-in-exile: politics at large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Orphans of the Cold War: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books.google[...]
[14]
서적
[15]
웹사이트
The Karma of Tibet
https://web.archive.[...]
2014-04-24
[16]
학술지
Qinghai and the Emergence of the West: Nationalities, Communal Interac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http://qinghaiecotou[...]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14-07-13
[17]
서적
Tibet: An Unfinished 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Buddha's warriors : the story of the CIA-backed Tibetan freedom fighters, the Chinese invasion, and the ultimate fall of Tibet
Penguin Books
2005
[19]
서적
Buddha's warriors: the story of the CIA-backed Tibetan freedom fighters, the Chinese invasion, and the ultimate fall of Tibet
Penguin Books
2005
[20]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1999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Tibet.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서적
[26]
간행물
Survey of China Mainland Press
[27]
서적
map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One hundred thousand moons
Brill
[34]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36]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4-04-24
[37]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38]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Contemporar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40]
서적
[41]
문서
The Snow Lion and the Dragon
http://content.cdlib[...]
[42]
서적
Freedom in Exile: The Autobiography of the Dalai Lama
Little, Brown and Co
[43]
서적
The historical Status of China's Tibet
https://books.google[...]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50]
서적
[51]
서적
One hundred thousand moons
BRILL
[52]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53]
서적
Orphans of the Cold War America and the Tibetan Struggle for Survival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1-12-27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book.sina.com[...]
201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